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아두이노를 배워봅시다!] 시리얼 통신을 이용해서 LCD에 글자를 써봅시다. 아두이노는 시리얼 통신을 지원합니다. 시리얼 통신을 사용해서 LCD에 글자를 한번 써보도록 합시다. * LCD를 사용하기 전에 LiquidCrystal 라이브러리를 반드시 아두이노 IDE에 추가 하여야 합니다.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setup 안에 Serial.begin(9600); 코드가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그아래에 있는 Serial.setTimeout(5); 의 의미는 시리얼통신이 오고나면 타임아웃이 걸리는데 까지 보통 1000msec 가 걸리는데 우리는 응답을 좀 빠르게 하기 위해서 이 값을 5msec로 변경해 주겠습니다. 이 코드에서 중요한 내용은 특정 명령어를 아두이노에게 전송하고 그 특정 명령어를 수신하면 LCD창에 미리 입력해둔 묵구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LCD O.. 2023. 4. 3.
[아두이노를 배워봅시다!] LCD에 글씨를 써봅시다!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LCD를 제어해 봅시다. 영문을 쓸수 있는 LCD를 활용하여 글자를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만약 에러가 난다면? 당황하지 맙시다. 혹시 LCD 창에 네모만 나오거나 글씨 출력이 안되거나 하는 오류가 종종 일어납니다. 가장 흔한 이유중 하나는 I2C LCD 부품의 주소값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당황하지 말고 다음과 같이 처리하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소스코드를 이용하면 됩니다. 아래 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내용을 복사하여 아두이노 IDE에 붙여넣기를 하고 실행하면 됩니다. LCD를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센서의 값을 읽어서 화면에 표시하는 등 활용도는 무궁무진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하루되시고, 열공합시다. 감사합니다. 2023. 3. 29.
[아두이노를 배워봅시다!] 통신기능을 이용해서 LED를 켜보자. 아두이노 UNO 보드의 LED를 통신기능을 이용해서 켜고 끄는 실습을 한번 해봅시다. 방법은 매우 쉽고 간단합니다. 일단 코드를 한번 작성해 봅시다. 코드가 좀 길어지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어렵지 않으니까 한줄식 이해를 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일단 이코드를 아두이노 IDE에 적어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오타가 있으면 당연히 작동을 하지 않겠죠? 아래에 코드 텍스트 파일을 넣어둘테니 다운받아서 나의 아두이노 IDE에 넣어줍니다. 한줄씩 설명을 해볼까요? 첫번째 줄입니다. String data; data라고 하는 글자를 넣어주는 변수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일단 데이타라는 변수안에 글자를 넣어주기 위해서 만들어주는 겁니다.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13,OU.. 2023. 3. 28.
[아두이노를 배워보자!] 아두이노 기초 02 [LED를 켜보자]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였다면 이제 가장 기본적인 LED 켜기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ED 는 아두이노 UNO보드를 사용한다면 아래 그림처럼 L이라고 표시된 부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저기 보이는 LED를 깜빡이게 해보는 코드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아두이노 IDE 소프트웨어를 켭니다. 그리고 안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합니다. 코드에 대한 설명을 한줄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oid setup() 이부분은 괄호({ })로 묶여진 내부의 코드가 한번 실행됩니다. 즉 이 셋업은 말그대로 아두이노에 전기가 공급된 이후에 실행이 되며 한번만 동작을 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설정값을 지정해 주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void loop() 이 부분은 괄호({ })로 묶여진 내.. 2023. 3. 28.
[아두이노를 배워보자!] 아두이노 기초 01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컴퓨팅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아두이노 보는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중에서 학습용으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것은 UNO보드 입니다. 그외에도 필요에 맞는 아두이노 보드를 선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회로를 꾸며야 합니다. 이러한 전자회로를 쉽게 꾸밀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브레드 보드 입니다. 브레드 보드는 내부 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는데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파란색라인은 모두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빨간색 라인도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즉 위에 파란색과 빨간색은 가로구멍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녹색라인은 세로구멍 끼리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부분을 반드시 숙지 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 2023. 3. 28.
[아두이노를 배워봅시다!] 아두이노 CH340 드라이버 설치하기 아두이노 호환보드를 사용하게 된다면 PC와 장치 연결을 위해서 드라이버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합니다. CH340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잘 따라하면 드라이버 설치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겁니다. 그럼 지금부터 따라해 볼까요? 아래에 있는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압축을 풀고 SETUP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합니다. 아두이노를 USB포트에 연결합니다. 만약 USB포트를 연결하고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다면 분리하여 뺐다가 다시 연결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장치관리자에 포트가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 연결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시고, 열공 합시다! 2023. 3. 27.